본문 바로가기

맹자

離婁章句上 第二章 : 聖人人倫之至也

 

 

 

孟子曰(맹자왈)
[規矩, 方員之至也. 聖人, 人倫之至也. (규구,방원지지야,성인,인륜지지야)
欲爲君盡君道, 欲爲臣盡臣道, (욕위군진군도,욕이신진신도)
二者皆法堯舜而已矣. (이자개법요순이이의)
不以舜之所以事堯事君, 不敬其君者也. (불이순지소이사여사군,불경기군자야)
不以堯之所以治民治民, 賊其民者也(불이순짓이치민치민,적기민자야)
孟子께서 말씀하셨다.
"規(Compass)ㆍ矩(Rule)는 方形ㆍ圓形의 지극한 것이요, 聖人은 人倫의 지극한 분이시다.
임금이 되고자 하면 임금의 道理를 다하고, 臣下가 되고자 하면 臣下의 道理를 다해야 하는데,
두가지 모두 堯舜을 法받을 뿐이다.
舜이 堯를 섬기던 바로서 임금을 섬기지 않으면, 그 임금을 공경하지 않는 者이며,
堯임금이 백성을 다스리던 바로서 백성을 다스리지 않으면 그 백성을 賊(害)하는 者이다.
 
孔子曰{道二 仁與不仁而已矣. } (공자왈 도이인여불인이이의)
孔子께서 '道가 둘이니, 仁과 不仁일 따름이다'라고 하셨다.
 
暴其民甚, 則身弑國亡. (폭기민심,즉신시국망)
不甚, 則身危國削. (불심,즉신위국삭)
名之曰 {幽厲} , (명지왈 유려)
雖孝子慈孫, 百世不能改也. (수효자자손,백세불능개야)
그 백성에게 포악하게 하기를 심하게 하면 곧 몸이 죽고 나라가 망하며,
심하지 않으면 곧 몸이 위태하고 국토가 깍인다.
幽(어둠) 厲(사나움)라는 惡한 임금의 시호(謚)로 이름 지어지게 되면
비록 효자와 자애로운 후손이라도 영원히 고치지 못할 것이다.
 
詩云 (시운)
{殷鑒不遠, 在夏后之世} , 此之謂也. ] (은감불원,재하후지세, 차지위야)
『시경』에 이르기를
'殷나라의 거울(鑑)이 먼 곳에 있지 않다. 바로 하나라의 걸임금이다.'하니, 이것을 이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