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용

(34)
제33장 : 衣錦尙䌹 詩曰(시왈) 衣錦尙䌹(의금상경)이라하니, 惡其文之著也 (오기문지저야)라 故(고)로 君子之道(군자지도)는 闇然而日章(암연이일장)하고, 小人之道(소인지도)는 的然而日亡(적연이일망)하나니. 君子之道(군자지도)는 淡而不厭(담이불염)하며 簡而文(간이문)하며 溫而理(온이리)니라. 知遠之近(지원지근)..
제32장 : 爲能經綸天下之大徑 唯天下之誠(유천하지성)이야 爲能經綸天下之大徑(위능경륜천하지대경)하며 立天下之大本(입천하지대본)하며, 知天地之化育(지천지지화육)이니,夫焉有所倚(부언유소의)리오 肫 肫其仁(순순기인)이며,淵淵其淵 (연연기연)이며, 浩浩其天(호호기천)이니라. 苟不固聰明聖知達天德者(구불고총명성지달..
제31장 : 溥博淵泉 而時出之 唯天下至聖(유천하지성)이야 爲能聰明睿知(위능총명예지)히여 足以有臨也(족이유림야)며 寬裕溫柔(관유온유)하여 足以有容也(족이유용야 )며 發强剛毅(발강강의)하여 足以有執也(족이유집야)며 齊莊中正(재장중정)하여 足以有敬也(족이유경야)며 文理密察(문리밀찰)하여 足以..
제30장 : 上律天時 下襲水土 仲尼(중니)는 祖述堯舜(조술요순)하시고 憲章文武(헌장문무)하시며 上律天時(상율천시)하시고 下襲水土(하습수토)하시니라. 공자께서는 요와 순을 으뜸으로 계승하시고,주나라 문왕과 무왕을 본받아 밝히셨으며, 위로는 하늘의 때를 법으로 따르고,아래로는 물과 흙의 이치를 따르셨다. 辟如天地之..
제29장 : 王天下有三重焉 王天下有三重焉(왕천하유삼중언)하니 其寡過矣乎! (기과과의호)인저. 천하에 왕 노릇 함에 세 가지 중요한 것을 갖추면,허물을 적게 할 것이다. 上焉者(상언자)는 雖善(수선)인 無徵(무징)이니, 無徵(무징)이면 不信(불신)이요 不信(불신)이면 民弗從(민불종)이라. 下焉者(하언자)는..
제28장 : 愚而好自用 子曰(자왈) 「愚而好自用(우이호자용)하며 賤而好自專(천이호자전)이요, 生乎今之世(생호금지세)하여 反古之道(반고지도)면 如此者(여차자)는 災及其身者也(재급기신자야)니라 」 공자께서 이르시기를 ‘어리석으면서 자기가 쓰여지기를 좋아하며,천하면서도 자기가 마음대로 하는 것을 좋아하며, ..
제27장 : 發育萬物 峻極于天 大哉(대재)라 聖人之道!(성인지도)여! 크도다 성인의 도여 洋洋乎! (양양호)라. 發育萬物(발육만물)하여 峻極于天(준극우천)이로다. 크고 크도다 만물을 발육하여 높고 큼이 하늘에 닿았다. 優優大哉! (우우대재)라, 禮儀三百(예의삼백)이요 威儀三千(위의삼천)이로다. 待其人而後 (대기인이후)에 行(행)..
제26장 : 至誠 無息 故(고)로 至誠(지성)은 無息(무식)이라. 그러므로 지극한 정성은 쉬는 법이 없다. 不息則久(불식즉구)하고 久則徵(구즉징)하고, 徵則悠遠(징즉유원)하고,悠遠則博厚(유원즉박후)하고 博厚則高明(박후즉고명)이라. 쉬지 않은즉 오래 지속되며,오래 지속된즉 효험이 나타나고, 효험이 나타나면 유원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