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경

(138)
137.국풍-진풍-동문지분 東門之枌(동문지분) : 동문의 흰 느릅나무. 東門之枌 宛丘之栩(동문지분 완구지허) 동문에는 흰 느릅나무 언덕엔 상수리나무 子仲之子 婆娑其下(자중지자 파사기하) 자중씨네 달들이 그 아래에서 춤을 추네 穀旦于差 南方之原(곡단우차 남방지원) 날씨 좋은 날 아침 남쪽 언덕에 ..
136.국풍-陳風-완구 진 宛丘(완구) : 언덕이름 子之湯兮 宛丘之上兮(자지탕혜 완구지상혜) 방탕한 그대 완구위에서 놀고 있네 洵有情兮 而無望兮(순유정혜 이무망혜) 노는 재미있겠지만 우러러 볼게 하나도 없네 坎其擊鼓 宛丘之下(감기격고 완구지하). 북소리 울리며 완구 아래에서 놀고 있네 無冬..
135.국풍-진풍-권여 權輿 : 권여(언덕이름) 於我乎 夏屋渠渠(어아호 하옥거거) 일찍이 나에게 넓고 큰집에서 살게 하더니 今也 每食無餘 (금야 매식무여) 이제는 매끼니 밥 먹을 때 남길게 없네 于嗟乎 不承權輿(우차호 불승권여) 아! 이제는 처음처럼 하지 못하네 . 於我乎 每食四簋(어아호 매식사궤) ..
134.국풍-진풍-위양 渭陽(위양) : 위수 북쪽 我送舅氏(아송구씨) 외숙부를 배웅하려고 曰至渭陽(왈지위양) 위수 북쪽까지 갓다네 何以贈之(하이증지) 무엇을 드렸느냐고요 路車乘黃(로거승황) 수레와 누런 사마라네 我送舅氏(아송구씨) 외숙부를 배웅하니 悠悠我思(유유아사) 온갖 생각이 떠 우르네 何以贈之(하이증지) ..
133.국풍-진풍-무의 無衣(무의) : 옷이 없다면. 豈曰無衣(개왈무의) 어찌 옷이 없어 與子同袍(여자동포) 그대와 두루마기를 함께 입겠소 王于興師(왕우흥사) 왕께서 군사를 일으키신다면 修我戈矛(수아과모) 나는 긴창,짧은 창을 닦아 與子同仇(여자동구) 그대와 함께 싸우려 가리라 豈曰無衣(개왈무의) 어찌 옷이 없어 與..
132.국풍-진풍-신풍 晨風(신풍) : 새매 鴥彼晨風(율피신풍) 씽씽 나는 저 새매들 鬱彼北林(울피북림) 북쪽의 우거진 숲으로 사라지네 未見君子(미견군자) 그대를 보지 못해 憂心欽欽(우심흠흠) 이내 시름 그지없네 如何如何(여하여하) 어떤 사연 있길래 忘我實多(망아실다) 이렇게 오래도록 날 잊으셨나요 山有苞櫟(산유포..
131-국풍-진풍-황조 黃鳥(황조) : 꾀꼬리 交交黃鳥(교교황조) 꾀꼴 꾀꼴 꾀꼬리가 止于棘 ( 지우극 ) 가시나무에 앉았네 誰從穆公(수종목공) 누가 목공을 따라 갔는가 子車奄息(자거엄식) 자거의 아들 엄식이라네 維此奄息(유차엄식) 이 사람 엄식이란 분은 百夫之特(백부지특) 일반 백 사람중에서도 특별한 사람 臨其穴 (..
130.국풍-진풍-종남 終南(종남) : 종남산 終南何有(종남하유) 종남산에 무었이 있나 有條有梅(유조유매) 유자나무와 매화나무 있지 君子至止(군자지지) 우리 임금 오셨는데 錦衣狐裘(금의호구) 비단 옷에 여우 갖옷 입으셨네 顔如渥丹(안여옥단) 붉은 물 들인듯한 얼굴이 其君也哉(기군야재) 진정 우리 임금님이시네 終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