匡章曰 (광장왈)
[陳仲子豈不誠廉士哉? (진중자개부성렴사재)
居於陵, 三日不食, 耳無聞, 目無見也. (거어능,삼일불식,이무문,목무견야)
井上有李, 螬食實者過半矣, (정상유리,조식실자과반의)
匍匐往將食之, 三咽, 然後耳有聞, 目有見.] (포복왕장식지,삼열,연후이유문,목유견)
광장이 말하였다.
"진중자는 어찌 진실로 청렴한 선비가 아니겠습니까?
어릉에 살 때에 사흘을 먹지 못하여 귀가 들리지 않고, 눈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우물가에 자두(李)가 있었는데, 굼벵이가 열매를 반 이상이나 파 먹었지만
기어가서 먹어 세 번을 삼킨 연후에야 귀가 들리고 눈이 보였습니다."
孟子曰 (맹자왈)
[於齊國之士, 吾必以仲子爲巨擘焉. (어제국지사,오필이중자위거벽언)
雖然, 仲子惡能廉? (수연,중자오능렴)
充仲子之操, 則蚓而後可者也. (충중자지조,즉인이후가자야)
孟子께서 말씀하셨다.
"제나라 士 중에서 내 반드시 중자를 거벽(엄지손가락)으로 삼는다.
그러나 중자가 어찌 청렴하다 하겠는가?
중자의 지조를 충족시키려면 지렁이가 되어야만 가능할 것이다.
夫蚓, 上食槁壤, 下飮黃泉. (부인,상식고양,하음황천)
仲子所居之室, 伯夷之所築與? (충자소거지실,백이지소축여?)
抑亦盜跖之所築與? (억역도척지소축여)
所食之粟, 伯夷之所樹與? (소식지속,백이지소수여?)
抑亦盜跖之所樹與? 是未可知也. ] (억유도척지소수요? 시미가지야)
지렁이는 위로 마른 흙을 , 아래로 흐린 물을 마시나니,
중자가 사는 집은 백이가 지은 것인가?
아니면 도척이 지은 것인가?
먹는 곡식은 백이가 심은 것인가?
아니면 도척이 심은 것인가? 이것을 알지 못하겠다."
曰 [是何傷哉? (왈 시하상재?)
彼身織屨, 妻辟纑, 以易之也.] (피신직구,처피로,이역지야)
"그것이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그는 몸소 신을 삼고 아내는 삼(麻)을 길쌈을 하여 곡식과 바꿔서 먹고 삽니다"
曰 [仲子, 齊之世家也. (왈 중자,제지세가야)
兄戴, 蓋祿萬鍾. (형대,개녹만종)
以兄之祿爲不義之祿而不食也, (이형지녹위불의지녹이불식야)
以兄之室爲不義之室而不居也, (이형지실위불의지실이불거야)
避兄離母, 處於於陵. (피형이모,처어어능)
他日歸, 則有饋其兄生鵝者, (타일귀,즉유궤기형생아자)
己頻顣曰 {惡用是鶃鶃者爲哉? } (기빈축왈 악용시역역자위재)
他日, 其母殺是鵝也, 與之食之. (타일,기모살시아야,여지식지)
其兄自外至, 曰 (기형자외지,왈)
{是鶃鶃之肉也. } 出而哇之. (시역역지육야,출이와지)
"중자는 제나라에서 대대로 큰 벼슬을 한 집안사람(世家)이다.
그의 兄 대는 합땅에서 받는 녹이 만종인데,
兄의 녹을 不義의 녹이라 하여 먹지 않으며,
형의 집을 不義의 집이라 하여 살지 않고,
형을 피하며 어머니를 떠나서 어릉에 살았다.
훗날 형의 집에 돌아와보니 그 형에게 산 거위를 선물한 자가 있었는데,
이맛살을 찡그리며 '이 꺽꺽대는 것을 어디에 쓰려는 것이요?'라고 했다.
다른 날에 그의 어머니가 거위를 잡아서 함께 먹고 있는데
그 형이 밖에서 들어와 말하기를
'이것이 꺽꺽대던 고기이다'하니, 밖에 나가서 토해 버렸다.
以母則不食, 以妻則食之. (이모즉불식,이처즉식지)
以兄之室則弗居, 以於陵則居之. (이형지실즉불거,이어능즉거지)
是尙爲能充其類也乎? (시상위능충기류야호?)
若仲子者, 蚓而後充其操者也.] (야중자자,인이후충깆자야)
어머니가 주면 먹지 않고 아내가 주면 먹으며,
형의 집에서 살지 않고 어릉에서 살았다.
이렇게 해서 자기가 지키는 지조를 충족시켜 내겠는가?
중자 같은 자는 지렁이가 되어야 그 지조를 충족할 것이다."
'맹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離婁章句上 第二章 : 聖人人倫之至也 (0) | 2010.06.18 |
---|---|
離婁章句上 第一章 : 徒善不足以爲政 (0) | 2010.06.18 |
滕文公章句下 第九章 : 夫子好辯 (0) | 2010.06.10 |
滕文公章句下 第八章 : 月攘一鷄 (0) | 2010.06.10 |
滕文公章句下 第七章 : 不見諸侯何義 (0) | 2010.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