魯平公將出 (노평공장출).
嬖人臧倉者請曰 (폐인장창자청왈). * 嬖: 사랑할 폐, 사랑하다,총애하다.
他日君出, 則必命有司所之 (타일군출,즉필명유사소지).
今乘輿已駕矣, 有司未知所之. 敢請 (금승여이가의,유사미지소지,감청).
公曰, 將見孟子 (공왈,장견맹자).
노나라 평공이 외출하려고 하니,
총애하는 신하 장창이 청하여 말하였다.
"다른 때는 임금님께서 나가시려면 반드시 담당자에게 가실 곳을 명하시더니,
지금은 수레에 이미 멍에를 매었는데, 담당자가 가시는 곳을 알지 못하니, 감히 청하나이다."
公이 말하기를 "孟子를 만나려고 한다."
曰, 何哉? (왈,하재?)
君所爲輕身以先於匹夫者, 以爲賢乎 (군소위경신 이선어필부자,이위현호)
禮義由賢者出. (예의유현자출)
而孟子之後喪踰前喪. 君無見焉 ,(이맹자지후상유전상,군무견언)!
公曰, 諾 (공왈,낙).
"무엇 때문입니까?
임금님께서 몸을 낮추시고 필부에게 먼저 가시는 것은 그가 어질다고 여겨서 입니까?
예의는 어진 사람으로 부터 나오는 것인데,
孟子는 어머니 상례를 아버지 보다 더 후하게 지냈습니다.임금님께서는 만나보지 마소서."
公이 말하기를 "그러마."
樂正子入見, 曰 (악정자입견,왈),
君奚爲不見孟軻也 (군해위불견맹가야)?
曰, 或告寡人曰 (왈,혹고과인왈),
孟子之後喪踰前喪, 是以不往見也(맹자지후후상유전상,시이불왕견야) .
曰, 何哉 君所謂踰者 (왈,하재 군소위유자)?
前以士, 後以大夫. 前以三鼎, 而後以五鼎與 (전이사,후이대부,전이삼정,이후이오정여)?
曰, 否. 謂棺槨衣衾之美也 (왈,부,위관각의금지미야).
曰, 非所謂踰也, 貧富不同也 (왈,비소위유야,빈부부동야) .
악정자가 들어와서 평공을 뵙고 말하였다.
"임금님께서 어찌하여 맹가를 만나보지 않으십니까?"
“어떤 사람이 과인에게 말하기를,
孟子가 어머니 상례를 아버지 보다 지나치게 지냈다고 하여서 가보지 않았노라.”
“무슨 말씀이십니까? 임금님께서 지나치게 지냈다고 하시는 것은?
아버지 때는 士였고,어머니 때는 大夫였습니다. 아버지 때는 삼정,어머니 때는
오정의 제물을 써서 입니까?"
"아니다. 관곽과 수의가 사치스러웠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것은 지나쳤다고 할 것이 아닙니다. 孟子의 빈부가 같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樂正子見孟子, 曰 (악정자견맹자,왈),
克告於君, 君爲來見也 (극고어군,군위래견야).
嬖人有臧倉者沮君, 君是以不果來也 (폐인유장창자저군,군시이불과래야).
曰, 行或使之, 止或尼之(왈,행역사지,지혹니지)?
行止, 非人所能也 (행지,비인소능야)
吾之不遇魯侯, 天也 (오지불우노후,천야).
臧氏之子焉能使予不遇哉 (장씨지자언능사여우재)?
악정자가 孟子를 뵙고 말하였다.
"제가 임금을 설득하여 임금께서 오셔서 선생님을 만나려고 하는데,
폐인 장창이라는 자가 임금을 가로막아 임금께서 이로 인하여 오지 못하였습니다."
"길을 가는 것도 누가 그렇게 시켜서이고, 멈추는 것도 누가 그것을 막아서 이겠는가?
가고 그치고는 사람이 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내가 노나라 임금을 만나지 못하는 것은 하늘의 뜻이지,
장씨 집 아무개가 어찌 나를 만나지 못하게 하겠는가?"
'맹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公孫丑章句上 第二章 : 浩然之氣 (0) | 2010.05.02 |
---|---|
公孫丑章句 上 第一章 : 管仲晏子 (0) | 2010.05.02 |
梁惠王章句下 第十五章. : 效死勿去 (0) | 2010.04.27 |
梁惠王章句下 第十四章. : 齊人將築薛 (0) | 2010.04.27 |
梁惠王章句下 第十三章. : 間於齊楚 (0) | 2010.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