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맹자

公孫丑章句上 第二章 : 浩然之氣

 

 

 

公孫丑問曰, 夫子加齊之卿相, 得行道焉, (공손추 문왈,부작제지경상,득행도언)
雖由此覇王不異矣. (수유차폐왕불이의)
如此, 則動心否乎. (여차,즉동심부호)
孟子曰 否. (맹자왈,부)
我四十不動心. (아사십 부동심)
공손추가 물었다. "선생님이 제나라의 경상에 오르셔서 선생님의 道를 펼치실 수 있게 된다면,
비록 이로 말미암아 제나라 임금을 패왕이 되게 하시더라도 이상할 것이 없을 것입니다.
이렇게 된다면 마음이 동요하지 않으시겠습니까?"
孟子께서 말씀하셨다.
"아니다. 내 四十세가 되어서부터 마음이 동요하지 않게 되었다."
 
曰, 若是, 則夫子過孟賁遠矣. (왈,야시,즉부자과맹분원의)
曰, 是不難, 告子先我不動心. (왈,시불란,고자선아부동심)
"그러시면 선생님께서는 맹분보다 훨씬 더 뛰어나십니다."
"이것은 어렵지 않다. 고자도 나보다 앞서 마음이 동요하지 않았다."
 
, 不動心有道乎. (왈,부동심유도호)
, . (왈,유)
부동심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
"있다."
 
北宮黝之養勇也, 不膚撓, 不目逃, (북궁유지양용야, 부부요,부목도)
思以一豪挫於人, 若撻之於市朝. (사이일호좌어인,야달지어시조)
不受於褐寬博, 亦不受於萬乘之君. (부수어갈관박,역부수어만승지군)
視刺萬乘之君, 若刺褐夫. (시자만승지군,야자갈부)
無嚴諸侯. 惡聲至, 必反之.(무엄제후,악성지,필반지)
북궁유는 용맹을 기르기를 칼에 찔려도 살을 떨지도 아니하고, 눈을 찔려도 깜빡이지도 아니하고,
한 터럭이라도 남에게 꺾이었다고 생각하면,장터거리에서 종아리를 맞은 것같이 여겼다.
천한 사람에게서나 만승의 임금에게서나 모욕을 받지 않았다.
만승의 임금을 찌르는 것을 천한 사람 죽이는 것같이 하였다.
그에게는 두려운 제후가 없었다. 욕하는 소리가 들리면 반드시 보복하였다.
 

 

孟施舍之所養勇也, 曰, 視不勝猶勝也. (맹시사지소양용야, 왈,시불승유승야)
量敵而後進, 慮勝而後會, (량적이후진,려승이후회)
畏三軍者也. 舍豈能爲必勝哉. (외삼군자야,사개능위필승재)
能無懼而已矣.(능무구이이의)
맹시사가 용맹을 기르는 바를 말하기를'이기지 못할 것을 보되 이길 것같이 여긴다.
적을 헤아린 뒤에야 나아가며, 이길 만한 뒤에야 맞서 싸운다면,
이는 大軍(三軍)을 두려워하는 짓이다. 내가 어찌 꼭 이길 수가 있겠는가?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을 따름이다'라고 하였다.
 
孟施舍似曾子, 北宮黝似子夏. (맹시사사증자,북궁유사자하)
夫二子之勇, 未知其孰賢, (부이자지용,미지기숙현)
然而孟施舍守約也. (연이맹시사수약야)
맹시사는 증자같고, 북궁유는 자하같다.
두 사람의 용맹 중 누가 나은지는 알 수 없으나,
맹시사는 지키는 바에 요점(守約)이 있다.
 
昔者曾子謂子襄曰, (석자증자위자양왈)
子好勇乎. 吾嘗聞大勇於夫子矣, (자호용호,오상문대용어부자의)
自反而不縮, 雖褐寬博, (자반이불축,수갈관박)
吾不惴焉, (오불췌언)
自反而縮, 雖千萬人, 吾往矣.(자반이축,수천만인,오왕의)
예전에 증자가 자양에게 말하기를
'자네는 용맹을 좋아하는가? 내가 일찍이 선생님한테서 큰 용맹에 관하여 들었는데,
 스스로 되돌아 생각해서 곧바르지 못하면,비록 낡고 헐렁한 옷을 입은 사람에 대해서라도
 내가 어찌 두려워하지 않으리 ,
 스스로 되돌아 생각해서 곧바르다면, 비록수많은 사람 앞이라도 나는 겁내지 않고 갈 것이다'
 라고 하였다.
 
孟施舍之守氣, 又不如曾子之守約也. (맹시사지수기,우불여증자지수약야)
맹시사가 氣를 지킴은 증자가 요점을 얻은 것만 못하다."
 
 
曰, 敢問夫子之不動心, 與告子之不動心, 可得聞與. (왈,감문부자지부동심,여고자집동심,가득문여)
告子曰 不得於言, 勿求於心, (고자왈,부득어언,물구어심)
不得於心, 勿求於氣. (부득어심,물구어기)
不得於心, 勿求於氣, 可, (부득어심,물구어기,가)
不得於言, 勿求於心, 不可. (부득어언,물구어심,불가)
夫志, 氣之帥也, 氣, 體之充也. (부지,지기사야,기,체지충야)
夫志至焉, 氣次焉. (부지지언,기차언)
故曰, 持其志, 無暴其氣. (고왈,지기지,무포기기)
"감히 여쭙건대, 선생님의 부동심과 고자의 부동심에 대하여 들려주시겠습니까?"
"고자가 '남이 하는 말(言)에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을 마음에서 구하지 말며,
 마음에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을 氣에서 구하지 말라'하였다.
 마음에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을 氣에서 구하지 말라 함은 옳지마는
 남이 하는 말(言)에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을 마음에서 구하지 말라 함은 옳지 않다.
 대저 뜻(志)은 氣의 통수요, 氣는 몸에 충만된 것이다.
 뜻(志)이 확립되면 氣가 다음에 따라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기의 뜻(志)을 올바로 지켜서, 자기의 氣를 해치지 말라'고 하였다."
 
旣曰 志至焉, 氣次焉, (기왈,지지언,기차언)
又曰 持其志無暴其氣者, 何也.(우왈,지기지무포기기자,하야)
曰, 志壹則動氣, 氣壹則動志也. (왈,지일즉동기,기일즉동지야)
今夫蹶者趨者, 是氣也, 而反動其心. (금부궐자추자,시기야,이반동기심)
"'志가 확립되면 氣가 다음에 따라오는 것이다' 하시고 나서,
  또 '자기의 志를 올바로 지켜서, 자기의 氣를 해치지 말라' 하심은 어째서 입니까?"
"志를 오로지 하나에만 쓰면 氣가 움직이고, 氣를 오로지 하나에만 쓰면 곧 志가 움직이게 된다.
 이제 걸려 넘어지기도 하고 달음질하는 것이 氣이기는 하나, 그것이 도리어
 마음을 움직이게 한다."
 
敢問夫子惡乎長.(감문부자악호장)
曰, 我知言, 我善養吾浩然之氣. (왈,아지언,아선양오호연지기)
"감히 묻자옵건대, 선생님께서는 어느 것을 잘 하십니까?"
"나는 말을 알며(知言), 나의 호연한 기(浩然之氣)를 잘 기르노라 "
 
 
敢問何謂浩然之氣. (감문하위호연지기)
曰, 難言也. 其爲氣也, 至大至剛, (왈,난언야,기위기야,지대지강)
以直養而無害, 則塞于天地之間. (이직양이무해,즉새우천지지간)
其爲氣也, 配義與道, 無是, 餒也. (기위기야,배의여도,무시,뇌야)
"감히 묻자옵건대, 무엇을 호연한 기(浩然之氣)라고 합니까?"
"말로 하기가 어렵다. 그 氣됨이 지극히 크고 지극히 강하여,
 곧게 기르는데(養)에 해하는 것이 없으면, 곧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차게 된다.
 그 氣됨은 언제나 義와 道에 짝(配合)하여 함께 하니, 이것이 없으면 허탈이 오게 된다.
 
是集義所生者, (시집의소생자)
非義襲而取之也. (비의습이취지야)
行有不慊於心, 則餒矣. (행유부겸어심,즉뇌야)
我故曰, 告子未嘗知義, 以其外之也 (아고왈,고자미상지의,이기외지야)
이(浩然之氣)는 正義에 따른 행동을 거듭하는 데 따라서 내 안에서 생겨나는 것이지,
義가 밖에서 사람에게 닥쳐와 사람으로 하여금 호연지기를 얻게 하는 것이 아니다.
行하는 것이 마음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이 있으면 마음에 허탈이 오게 된다.
그러므로 내가 말하기를 '告子는 義를 알지 못한다' 라고 하였는데, 그가 義는 밖에 있는 것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必有事焉而勿正, (필유사언이물정)
心勿忘, (심물망)
勿助長也. (물조장야)
無若宋人然, (무약송인연)
宋人有閔其苗之不長而揠之者, (송인유민기묘지부장이알지자)
芒芒然歸. 謂其人曰, (망망연귀,위기인왈)
今日病矣, 予助苗長矣. (금일병의,예조묘장의)
其子趨而往視之, 苗則槁矣. (기자추이왕시지,묘즉고의)
그러므로 반드시 義를 쌓는 것을 일삼고 그 효과를 미리 기필(預期)하지 말며,
혹 가득 차지 않게 될 경우에는 다만 마땅히 자기가 할 일이 있음을 잊지 말도록 할 일이지,
일을 꾸며서 그것이 자라나도록 도와서는 않된다.
宋나라 사람같이 한 것처럼 하지 말 것이다.
宋나라 사람이 자기가 심은 곡식의 싹이 자라지 않는 것을 민망히 여겨 싹을 뽑아
올린 이가 있었다.
지쳐 돌아와 그 집안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오늘은 피곤하다. 내가 싹이 자라는 것을 도와 주었다' 하기에,
 그 아들이 달음질하여 가보니 싹이 모두 말라 있었다.
 
 
天下之不助苗長者寡矣. (천하지부조묘장자과의)
以爲無益而舍之者, 不耘苗者也, (이위무익이사지자,불경묘자야)
助之長者, 揠苗者也. (조지장자,알묘자야)
非錟陝益, 而又害之. (비담섬익,이우해지)
이 세상에는 이렇게 싹을 뽑아 올리는 일을 하지 않는 자가 적다.
호연지기같은 것은 무익하다고 해서 내버리는 자는 곡식을 김매지 않는 자이다.
또 이를 억지로 자라게 하는 자(북궁유나 맹시사)는 싹을 뽑아 올리는 자이다.
이런 일은 한갓 유익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도리어 해로운 것이다."
 
何謂知言. (하위지언)
曰, 詖辭知其所蔽, (왈,피사지기소폐)
淫辭知其所陷, (음사지기소함)
邪辭知其所離, (사사지기소리)
遁辭知其所窮. (둔사지기소궁)
生於其心, 害於其政, (생어기심,해어기정)
發於其政, 害於其事. (발어기정,해어기사)
聖人復起, 必從吾言矣.(성인복귀,필종오언의
"말을 안다 함(知言)은 무슨 말씀입니까?"
"한편으로 치우친 말(詖辭)에 그 사람 마음 어딘가에 숨겨진 것(蔽)이 있음을 알며,
 음란한 말(淫辭)에 그 사람 마음이 어딘가에 빠져 있음(陷)을 알며,
 간사한 말(邪辭)에 그 사람 마음이 道理에서 벗어나 있음(離)을 알며,
 회피하는 말(遁辭)에 그 사람이 어딘가 궁지에 빠진 것(窮)을 알 수가 있다.
 이 네 가지 악한 생각이 사람의 마음 속에 생겨나면 반드시 그 정치를 해치게 되며,
 그 정치에 그 생각이 나타나게 되면 그 일을 해하게 되는 것 이니,
 聖人이 다시 나타난다 하더라도 내 말을 따를 것이다."
 
 
宰我·子貢善爲說辭, 冉牛·閔子·顔淵善言德行. (제아,자공선위설사,염우,민자,안연선언덕행)
孔子兼之, 曰, 我於辭命則不能也. (공자겸지,왈,아어사명즉불능야)
然則夫子旣聖矣乎. (연즉부작기성의호)
"재아와 자공은 말을 잘 하였고, 염우와 민자와 안연은 德行을 말하기를 잘 하였습니다.
 孔子께서는 이것을 겸하시고도 '나는 말을 잘 하지 못한다'고 하셨으니,
 그러면 선생님께서는 이미 聖人이십니다!"
 
,. 是何言也. 昔者子貢問於孔子曰 夫子聖矣乎. (왈,오,시하언야,석자자공문어공자왈 부자성의호)
孔子曰 聖則吾不能, 我學不厭而敎不倦也. (공자왈 성즉오불능,아학불염이교불권야)
子貢曰, 學不厭, 智也, 敎不倦, 仁也. (자공왈,학불연,지야,교불권,인야)
仁且智, 夫子旣聖矣. (인차지,부자기성의)
夫聖, 孔子不居, 是何言也. (부성,공자불거,시하언야)
"아! 이 무슨 말이냐. 옛날에 자공이 孔子께 '선생님께서는 聖人이십니까?' 하니,
 孔子께서 '聖人은 내가 능하지 못하거니와, 나는 배우기에 물리지 아니하며, 가르치기에
 지치지 않노라'하니,
 자공이 '배우기에 물리지 않는 것은 지혜이고, 가르치기에 지치지 않는 것은 仁이니,
 仁하고 또한 지혜로우니 선생께서는 이미 聖人이십니다' 하였다.
 聖人은 孔子께서도 자처하지 않으셨는데, 이 무슨 말인가?"
 
昔者竊聞之, 子夏·子游·子張皆有聖人之一體, (석자절문지,자하,자유,자장개유성인지일체)
冉牛·閔子·顔淵則具體而微. (염우,민자,안연즉구체이미)
敢問所安. (감문소안)
"예전에 제가 혼자서 저으기 들으니, 자하, 자유, 자장은 다 聖人의 德의 일부분을 갖추고 있었고,
 염우, 민자건, 안연은 그 전체를 갖추었으나 미약하다 하였습니다.
 감히 선생님께서는 어디에 해당하실 지를 묻습니다.“
 
曰, 姑舍是. (왈,고사시)
"이제 그 이야기는 그만 두자.“
 
 
曰, 伯夷·伊尹何如. (왈,백이,이윤,하여)
曰, 不同道. 非其君不事, (왈,부동도,비기군불사)
非其民不使, (비기문불사)
治則進, 亂則退, 伯夷也. (치즉진,난즉퇴,백이야)
何事非君, 何使非民, (하사비군,하사비민)
治亦進, 亂亦進, 伊尹也. (치역진,난역진,이윤야)
可以仕則仕, 可以止則止, (가이사즉사,가이지즉지)
可以久則久, 可以速則速, 孔子也. (가이구즉구,가이속즉속,공자야)
皆古聖人也, 吾未能有行焉, (개고성인야,오미능유행언(
乃所願, 則學孔子也. (내소원,즉학공자야)
"백이와 이윤은 어떠합니까?"
"道가 같지 아니하다. 자기가 좋아하는 임금이 아니면 섬기지 아니하며,
 자기가 좋아하는 백성이 아니면 부리지 아니하며,
 다스려지면 나아가고 어지러우면 물러가는 이가 백이이다.
 어떤 이든 섬기면 임금이 아니며, 어떤 이든 부리면 백성이 아니냐고 하여,
 다스려져도 또한 나아가고, 어지러워도 또한 나아가는 이가 이윤이다.
 벼슬을 할 만하면 벼슬을 하고, 그쳐야 하면 그치고,
 오래함즉 하면 오래 있고, 빨리 해야 할 때는 빨리 하는 이가 孔子이시다.
 모두 예전의 聖人이다. 나는 아직까지 이처럼 할 수 없었지만,
 내가 바라는 바는 孔子를 본받는 것이다."
 
伯夷·伊尹於孔子, 若是班乎. (백이,이윤어공자,약시반호)
曰, 否. 自有生民以來, 未有孔子也. (왈,부,자유생민이래,미유공자야)
"백이와 이윤이 孔子와 그토록이나 비슷합니까?"
"아니다. 이 세상에 사람이 생겨난 이래로 孔子만 하신 분이 없다."
 
 
曰, 然則有同與. (왈,연즉유동여)
曰, 有. 得百里之地而君之, 皆能以朝諸侯有天下. (왈,유,득백리지지 이군지,개능이조제후 유천하)
行一不義·殺一不辜而得天下, (행일불의,살일불고이득천하)
皆不爲也. 是則同.(개불위야,시즉동)
"그러면 세분들 사이에 같은 점이 있습니까?"
"있다. 百里의 땅을 얻어서 임금 노릇을 한다면 다 능히 제후를 조회케 하여 천하를 얻을 것이다.
 한 가지의 불의한 일을 행하고, 한 사람의 허물없는 이를 죽여서 천하를 얻는다 하여도
 그런 일은 다들 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런 점이 같은 것이다.“
 
曰, 敢問其所以異. (왈,감문기소이이)
曰, 宰我·子貢·有若智足以知聖人. (왈,재아,자공,유약지족이지성인)
汚, 不至阿其所好.(오.부지하기소호)
"감히 그 분들의 서로 다른 점을 묻나이다."
"재아와 자공과 유약은 지혜가 聖人을 알아 볼 수 있을 만하였다.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이라고 해서 그에게 아첨할 사람은 아니었다.
 
宰我曰, 以予觀於夫子, 賢於堯舜遠矣. (재아왈,이여관어부자,현어요순원의)
재아가 말하기를 '내가 孔子를 보건대 요순보다 어질다'고 하였고,
 
子貢曰, 見其禮而知其政, (자공왈,견기례이지기정)
聞其樂而知其德. (문기악이지기덕)
由百世之後, 等百世之王, 莫之能違也. (유백세지후,등백세지왕,막지능위야)
自生民以來, 未有夫子也.(자생민이래,미유부자야)
자공이 말하기를 '그 나라의 禮를 보고 그 정치를 알수 있으며,
그 임금이 좋아하는 음악을 들으면 그 사람의 德을 알 수 있다.
이 같이 百世 뒤에 가서 역대 제왕을 평가해 본다면 조금도 틀리지 않을 것이니,
이 세상에 사람이 생겨난 이래로 孔子만 하신 이가 없다'고 하였고,
 
 
有若曰, 豈惟民哉. 麒麟之於走獸, (유약왈,개유민재,기린지어주수)
鳳凰之於飛鳥, (봉황지지어비조)
太山之於丘垤, 河海之於行潦, 類也. (태산지어구질,하해지어행료,류야)
聖人之於民, 亦類也. 出於其類, 拔乎其萃, (성인지어민,역류야,출어기류,발호기췌)
自生民以來, 未有盛於孔子也. (자생민이래,미유성어공자야)
유약이 말하기를 '어찌 오직 백성뿐이랴. 기린이 길 짐승 중에 빼어남과 같이,
봉황이 날 짐승 중에 빼어남 같이,
태산이 언덕이나 개미굴, 황하나 바다가 고인 물웅덩이 에 비하여 빼어남과 같은 종류이다.
聖人도 일반 사람들과 같은 무리이지만, 그 무리에서 나와 특출하게 빼어난 사람이다.
이 세상에 사람이 생겨난 이래로 孔子보다 덕이 크신 사람은 있지 않았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