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덕경

老子 제3장 : 賢(현)을 강조하지 않으면 백성들은 다투지 않는다.

 

     不尙賢, 使民不爭.         (불상현, 사민부쟁)
   不貴 難得之貨, 使民不爲盜. (불귀 난득지화,사민불위도)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불견가욕,사민심불란)
   是以聖人之治,              (시이성인지치)
   虛其心, 實其腹,            (허기심, 실기복)
   弱其志, 强其骨,            (약기지,강기골)
   常使民無知無欲,            (상사민무지무욕)
   使夫知者不敢爲也.            (사부지자불감위야)
   爲無爲則無不治.            (위무위즉무불치)
    
     현명함을 추켜세우지 않으면 백성들이 다투지 않게 되고,
    얻기 어려운 보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으면 백성들이 훔칠 생각을 하지 않게 되며,
    욕심이 생길만한 것을 보이지 않으면 백성들의 마음이 어지럽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성인(聖人)의 다스림은
    백성들의 마음속의 욕심을 없게 하는 대신 배는 채워주고,
    백성들의 뜻은 약하게 하는 대신 몸은 튼튼하게 해준다.  
    그리하여 언제나 백성들로 하여금 아는 것과 욕심이 없게 하고.
    무릇 안다는 자들로 하여금 감히 무언가를 한다고 하지 못하게 한다.
    그러므로 무언가를 굳이 하는 것을 없게 하면, 다스리지 못할 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