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용

제14장 : 素其位而行

 

 

君子(군자)는 素其位而行(소기위이행)이오 不願乎其外(불원호기외)니라
군자는 현재 그 위치에서 행하고 그 바깥을 원하지 않느니라
 
素富貴(소부귀)하얀 行乎富貴(행호부귀)하며 素貧賤(소빈천)하얀 行乎貧賤(행호빈천)하며
素夷狄(소이적)하얀 行乎夷狄(행호이적)하며 素患難(소환란)하얀 行乎患難(행호환란)이니
君子(군자)는 無入而不自得焉(무입이불자득언)이니라
부귀에 있어서는 부귀대로 행하며 빈천에 있어서는 빈천대로 행하며
오랑캐에 있어서는 오랑캐대로 행하고 환란에 있어서는 환란대로 행하니
군자는 들어가는 데마다 스스로 얻지 못함이 없느니라.
 
在上位(재상위)하야 不陵下(부능하)하며
在下位(재하위)하야 不援上(부원상)이오
正己而不求於人(정기이불구어인)이면 則無怨(즉무원)이니
上不怨天(상불원천)하며 下不尤人(하불우인)이니라
윗자리에 있어서 아랫사람을 능멸하지 않으며,
아랫자리에 있어서 윗사람을 잡아당기지 않으며
자기 몸을 바로 하여 남에게 구하지 않으면 즉 원망이 없음이니,
위로는 하늘을 원망하지 않으며 아래로는 사람을 탓하지 아니 하나니라
 
(고)로 君子(군자)는 居易以俟命(거이이사명)하고
小人(소인)은 行險以徼幸(행험이요행)이니라
그러므로 군자는 쉬운 데(평지)에 거하면서 명을 기다리고
소인은 험한 곳을 다니면서 요행을 구하느니라.
 
子曰(자왈)
(사)이 有似乎君子(유사호군자)하니
失諸正鵠(실제정곡)이면 反求諸其身(반구제기신)이니라
공자께서 이르시길
활을 쏘는 것이 군자와 같음이 있으니
정곡을 잃게 되면 돌이켜 그 자신에서 구하느니라.

 

'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6장 : 視之而弗見  (0) 2010.10.17
제15장 : 辟如行遠必自邇  (0) 2010.10.17
제13장 : 道不遠人  (0) 2010.10.13
제12장 : 君子之道는 費而隱   (0) 2010.10.13
제11장 : 君子 依乎中庸   (0) 2010.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