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曰 (맹자왈)
[魚, 我所欲也. 熊掌, 亦我所欲也, (어,아소욕야,웅장,역아소욕야)
二者不可得兼, 舍魚而取熊掌者也. (이자불가득겸,사어이취웅장자야)
生, 亦我所欲也. 義, 亦我所欲也, (생,역아소욕야,의,역아소욕야)
二者不可得兼, 舍生而取義者也. (이자불가득겸,사생이취의자야)
生亦我所欲, 所欲有甚於生者, (생역아소욕,소욕유심어생자)
故不爲苟得也. (고불위구득야)
死亦我所惡, 所惡有甚於死者, (사역아소오,소오유심어사자)
故患有所不辟也. (고환유소불피야)
如使人之所欲莫甚於生, (여사인지소욕막심어생)
則凡可以得生者, 何不用也? (즉범가이득생자,하불용야?)
使人之所惡莫甚於死者, (사인지소오막심어사자)
則凡可以辟患者, 何不爲也? (즉범가이피한자,하불위야?)
由是則生而有不用也, (유시즉생이유불용야)
由是則可以辟患而有不爲也. (유시즉가이피한이유불이야)
是故所欲有甚於生者, 所惡有甚於死者, (시고소욕유심어생자,소오유심어사자)
非獨賢者有是心也, (비독현자유시심야)
人皆有之, 賢者能勿喪耳. (인개유지,현자능물상이)
맹자께서 말씀하시길
"물고기도 얻고 곰의 발바닥도 또한 내가 얻고 싶어하는 것이다.
두 가지를 함께 얻을 수 없다면 물고기를 포기하고 곰의 발바닥을 취할 것이다.
生도 내가 바라는 것이고 義도 내가 바라는 것이다.
生도 내가 바라는 것이고 義도 내가 바라는 것이다.
두 가지를 함께 얻을 수 없다면 生을 버리고 義를 취할 것이다.
삶도 또한 내가 바라는 것이지만 삶보다 더욱 바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구차하게 삶을 얻으려 하지 않는다.
죽음 또한 내가 싫어하는 것이지만 싫어하는 바가 죽음보다 더 심한 것이 있기 때문에
죽음 또한 내가 싫어하는 것이지만 싫어하는 바가 죽음보다 더 심한 것이 있기 때문에
환란을 만나도 피하지 않을 때가 있다.
사람이 바라는 것 중에서 삶보다 더한 것이 없다면
삶을 얻기 위해서 무슨 방법인들 쓰지 못하겠는가?
만약 사람이 싫어 하는 것이 죽음보다 더 심한 것이 없다면
대개 죽음의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무슨 짓이라도 할 것이다.
그러나 어떤 방법을 쓰면 사는데도 그런 방법을 쓰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어떤 짓을 하면 죽음의 위험을 피할 수 있는데도 그런 짓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사람에게는 삶보다 더 바라는 것이 있고, 죽음보다 더 싫어하는 것이 있다.
현명한 사람만이 이런 마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고,
사람이면 모두가 가지고 있는 것이다. 현명한 사람은 그런 마음을 잃지 않을 뿐이다.
一簞食, 一豆羹, 得之則生, (일단사,일두갱,득지즉생)
弗得則死. (불득즉사)
嘑爾而與之, (호이이여지)
行道之人弗受. (행도지인불수)
蹴爾而與之, 乞人不屑也. (축이이여지,걸인불설야)
한 대나무 그릇의 밥과 한 나무그릇의 죽을 얻으면 살고
얻지 못하면 죽을 경우라 할지라도
「옛다」하고 욕설을 퍼부으면서 준다면,
떠돌아다니는 사람도 받지 않고,
발길로 질러주면 거지라 할지라도 받지 않을 것이다.
萬鍾則不辨禮義而受之. (만종즉불변예의이수지)
萬鍾於我何加焉? (만종어아하가언?)
爲宮室之美 妻妾之奉 (위궁실지미 처첩지봉)
所識窮乏者得我與? (소식궁핍자득아여?)
鄕爲身死而不受, (향위신사이불수)
今爲宮室之美爲之. (금위궁실지미위지)
鄕爲身死而不受, (향위신사이불수)
今爲妻妾之奉爲之. (금위처첩지봉위지)
鄕爲身死而不受, (향위신사이불수)
今爲所識窮乏者得我而爲之, (금위소식궁핍자득아이위지)
是亦不可以已乎? (시역불가이이호?)
此之謂失其本心. ] (차지위실기본심)
만종(萬鐘)이나 되는 녹이라면 禮나 義를 따지지 않고 받으니,
그 만종(萬鐘)의 녹이 나에게 무엇을 보태어 줄 것인가?
궁실(宮室)의 아름다움, 아내와 첩의 봉양,
내가 아는 가난한 사람이 나에게서 얻을 것, 이러한 것을 위해서인가?
언제는 죽게 되더라도 받지 않다가
이제 아름다운 궁실(宮室)을 위하여 (예의에 어그러진 만종의 녹을) 받고,
언제는 죽게 되더라도 받지 않다가
언제는 죽게 되더라도 받지 않다가
이제 아내와 첩의 봉양을 위하여 받고,
언제는 죽게 되더라도 받지 않다가
언제는 죽게 되더라도 받지 않다가
이제 내가 아는 가난한 사람이 나에게서 혜택을 얻기 위해서 받아야 하는 것인가?
이것 역시 그만둘래야 그만둘 수 없는 것인가?
본심을 잃는다는 것은 이를 두고 하는 말이다."
본심을 잃는다는 것은 이를 두고 하는 말이다."
'맹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告子章句上 第十二章 : 指不若人 (0) | 2010.08.17 |
---|---|
告子章句上 第十一章 : 求放心 (0) | 2010.08.17 |
告子章句上 第九章 : 無或乎王之不智 (0) | 2010.08.17 |
告子章句上 第八章 : 牛山之木 (0) | 2010.08.17 |
告子章句上 第七章 : 富歲子弟多賴 (0) | 2010.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