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曰, (맹자왈)
"無或乎王之不智也. (무혹호왕지부지야)
雖有天下易生之物也, (수유천하이생지물야)
一日暴之, 十日寒之, 未有能生者也. (일일포지,십일한지,미유능생자야)
吾見亦罕矣, 吾退而寒之者至矣, (오견역한의,오퇴이한지자지의)
吾如有萌焉何哉? (오여유맹언하재?)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왕이 지혜롭지 않은 것을 이상하게 여길 필요가 없다.
비록 세상에서 아무리 쉽게 자랄 수 있는 것이라도
하루 동안만 햇볕에 쪼이고 열흘 동안 차게 한다면 자랄 수 있는 것은 없다.
내가 왕을 만나 볼 기회는 드물고, 물러나면 그를 차게 하는 자들이 모여드니,
싹이 트게 하고자 하여도 나로서는 어쩔 수가 없다.
今夫奕之爲數, 小數也. (금부혁지위수,소수야)
不專心致志, 則不得也. (불전심치지,즉부득야)
奕秋, 通國之善奕者也. (혁추,통국지선혁자야)
使奕秋誨二人奕, (사혁추회이인혁)
其一人專心致志, 惟奕秋之爲聽. (기일인전심치지,유혁추지위청)
一人雖聽之, (일인수청지)
一心以爲有鴻鵠將至, 思援弓繳而射之, (일심이위유홍곡장지,사원궁격이사지)
雖與之俱學, 弗若之矣. (수여지구학,불야지의)
爲是其智弗若與? 曰 非然也. ] (이시기지불야여? 왈 비연야)
비유컨대 바둑 두는 수는 하잘 것 없는 수이기는 하나,
마음을 오로지해서 하지 않으면 잘 두지를 못한다.
혁추(奕秋)는 나라 안에서 바둑 잘 두는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혁추로 하여금 두 사람에게 바둑을 가르치게 하는데,
한 사람은 마음을 오로지하고 뜻을 다하여 혁추의 말만을 듣고,
한 사람은 그의 말을 듣는다 할지라도
마음 한 구석으로는 '기러기란 놈이 날아 오기만 하면 주살을 메어서 쏘아 잡아야지'하고
생각한다면,
비록 같이 배운다 할지라도 같이 잘 둘 수가 없을 것이다.
이것은 지혜가 같지 않기 때문인가? 그렇지 않다."
'맹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告子章句上 第十一章 : 求放心 (0) | 2010.08.17 |
---|---|
告子章句上 第十章 : 魚與熊掌 (0) | 2010.08.17 |
告子章句上 第八章 : 牛山之木 (0) | 2010.08.17 |
告子章句上 第七章 : 富歲子弟多賴 (0) | 2010.08.17 |
告子章句上 第六章 : 乃若其情 (0) | 2010.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