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맹자

公孫丑章句下 第十二章 : 孟子去齊 尹士語人曰

 

 

 

孟子去齊. 尹士語人曰, (맹자거제,윤사어인왈)
不識王之不可以爲湯武, 則是不明也. (불식왕지불가이위탕무,즉시불명야)
識其不可, 然且至, 則是干澤也. (식기불가,연차지,즉시간택야)
千里而見王, 不遇故去. (천리이견왕,불우고거)
三宿而後出晝, 是何濡滯也. 士則玆不悅. (삼숙이후출주,시하 유체야,사즉자불열)
孟子께서 제나라를 떠나시자, 윤사가 사람들에게 말하였다.
"王이 탕왕이나 무왕같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면, 이는 밝지 못한 것이요,
 그 같이 될 수 없을 줄을 알고도 이르렀으면 이것은 혜택()을 구하려 한 것이다.
 千里길을 와서 왕을 만나보고 뜻이 같지 않아 떠나 가는데,
 사흘이나 묵고난 뒤에야 주땅을 떠났으니 어찌하여 그리 지체하였는가? 나는 그 행동이 불쾌하다."
 
高子以告. (고자이고)
, 夫尹士惡知予哉. 千里而見王, 是予所欲也. (왈,부윤사오지여재,천리이견왕,시여소욕야)
不遇故去, 豈予所欲哉. 予不得已也. (불우고거,개여소욕재,여부득이야)
高子가 그 말을 고하였더니,
"윤사가 어떻게 나를 알겠는가? 千里길을 가서 王을 만나 보는 것은 내가 바라던 바였지만,
 뜻이 같지 못해서 떠나 가는 것이 어찌 내가 바라던 바였겠느냐? 내가 마지못해 떠나는 것이다.
 
 
予三宿而出晝, 於予心猶以爲速. (여삼숙이출주,어여심유이위속)
王庶幾改之. 王如改諸, 則必反予.(왕서기개지,왕여개제,즉필반여)
夫出晝而王不予追也, (부출주이왕불여추야)
予然後浩然有歸志. (여연후호연유기지)
予雖然, 豈舍王哉. (여수연,개사왕재)
王由足用爲善. (왕유족용위선)
王如用予, 則豈徒齊民安, (왕여용여,즉개도제민안)
天下之民擧安. (천하지민거안)
王庶幾改之, 予日望之. (왕서기개지,여일망지)
내가 사흘을 묵고 주땅을 떠났으나, 내 마음에는 오히려 빨랐다고 생각한다.
王이 마음을 고치기를 바랐는데, 왕이 만일 마음을 고친다면 반드시 나를 되돌리게 하였을 것이다.
주땅에서 떠나가는데도 왕이 나를 따라오지 않았으므로,
내가 그런 뒤에야 호연하게 돌아갈 뜻을 가졌다.
비록 그러하나 내 어찌 그가 훌륭한 임금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버리겠는가? 
王은 그래도 좋은 정치를 해낼 수 있을 것이다.
王이 만일 나를 써 준다면 어찌 제나라 백성만을 편안하게 하겠는가?
온 天下의 백성이 다 편안하여 질 것이다.
王이 마음을 고치기를 바라거니와 나는 날마다 그렇게 되기를 바라고 있다.
 
予豈若是小丈夫然哉. (여개야싯장부연재)
諫於其君而不受, 則怒, 悻悻然見於其面. (간어기군이불수,즉노,행행연견어기면)
去則窮日之力而後宿哉. (거즉궁일지력이후숙재)
尹士聞之曰, 士誠小人也. (윤사문지왈,사성소인야)
내 어찌 이 소인배(小丈夫)같이 굴겠는가?
그 임금에게 간하였다가 받아주지 않는다고 곧 노하여 발끈한 빛을 그 얼굴에 나타내고
그 나라를 떠나면서, 종일토록 힘을 다하여 간 후에 유숙하는 것같이 하겠는가?"
윤사가 이 말을 듣고 말하였다. "나는 진실로 小人이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