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맹자

梁惠王章句上 第五章. : 可使制梃

 

 

梁惠王曰 (양혜왕왈),
晉國, 天下莫强焉, 叟之所知也 (진국,천하막강언,수지소지야).
及寡人之身, 東敗於齊, 長子死焉 (급가인지신,동패어진,장자사언).
西喪地於秦七百里 (서상지너진칠백리).
南辱於楚 (남욕어초).
寡人恥之, 願比死者一洒之 ( 과인치지,원비사자일세지),
如之何則可 (여지하즉가).
 양혜왕이 말씀하였다.
"진나라가 천하에 그보다 더 강한 상대가 없음은 선생께서도 아시는 바 입니다.
 과인의 몸에 이르러, 동으로는 제나라에 패하여 큰 아들이 죽고,
 서쪽으로는 진나라에게 국토를 칠백리나 빼앗겼고,
 남으로는 초나라에게 욕을 보았습니다.
 과인은 이것을 부끄럽게 생각하여 죽은 사람을 위하여 한번 설욕을 하려 하는데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孟子對曰 (맹자대왈),
地方百里而可以王 (지방백리이가이왕).
 孟子께서 대답하여 말씀하셨다.
"영토가 사방 백리이면 그것으로 왕 노릇 할 수 있습니다.”
 
王如施仁政於民, 省刑罰 (왕여시인정어민,성형벌),
薄稅斂, 深耕易耨 (박세렴,심경이누).
壯者以暇日修其孝悌忠信 ( 장자이가일수기효제충신),
入以事其父兄, 出以事其長上 (입이사기부형,출이사기장상),
可使制梃 以撻秦楚之堅甲利兵矣 (가사제정 이달진초지견갑이병의)
왕께서 만일 어진 정치를 백성들에게 베풀어, 형벌을 신중하게 살피고(덜어주고),
 세렴을 적게 하시면, 백성들은 깊이 밭 갈고 쉽게 김매며,
 장정들이 여가를 이용하여 효도와 공경과 충성과 미더움을 닦아
 집에 들어가서는 그 부형을 섬기며, 나와서는 그 윗사람과 임금을 섬길 것이니,
 그렇게 하면 몽둥이를 들고서도 진나라와 초나라의 굳은 갑옷과
 예리한 병기를 치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彼奪其民時 (피탈기민시),
使不得耕耨 以養其父母 (사부득경누 이양기부모),
父母凍餓, 兄弟妻子離散 (부모동아 형제처자이산).
“저들이 자기 백성의 농사철을 빼앗아
  밭 갈고 김매어 그들의 부모를 봉양하지 못하게 하면
  부모가 추위에 얼고 굶주리며, 형제와 처자가 헤어져 흩어질 것입니다.”
 
彼陷溺其民 (피함닉기민),
王往而征之, 夫誰與王敵 (왕왕이정지,부수여왕적).
故曰, 仁者無敵. 王請勿疑 (고왈,인자무적. 왕청물의).
“저들이 그 백성들을 곤경에 빠뜨리는데
  왕께서 가셔서 바로 잡으면 도대체 누가 임금님께 대적하겠습니까?
  그러므로 말하기를 '어진 사람은 적이 없다'고 했으니, 청컨데 왕께서는 의심하지 마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