以道佐人主者(이도좌인주자), 不以兵强天下(불이병강천하).
其事好還(기사호환).
師之所處(사지소처), 荊棘生焉(형극생언),
大軍之後(대군지후), 必有凶年(필유흉년).
善者果而已(선자과이이). 不敢以取强(불감이취강).
果而勿矜(과이물긍), 果而勿伐(과이물벌), 果而勿驕(과이물교),
果而不得已(과이부득이), 果而勿强(과이물강).
物壯則老(물장즉노).
是謂不道(시위부도).
不道早已(불도조이).
道로서 임금을 보좌하는 사람은 무력으로 나라를 강하게 만들려 하지 않는다.
그렇게 하면 무력이 무력을 불러오는 것이 순환되기 때문이다.
군대가 머무른 자리에는 가시나무가 자라고,
큰 전쟁이 있은 후에는 반드시 흉년이 들게 된다.
훌륭한 사람은 이루어 놓은 결과에 만족할 뿐 더 이상 강해지려고 하지 않는다.
이루어 놓은 결과에 대해서도 자랑하지 않고, 뽐내지 않고, 교만하지 않는다.
이루어 놓은 결과도 어쩔 수 없이 행한 것이며, 그 이상 굳세어 지려 하지 않는다.
만물은 장성하면 반드시 쇠퇴하기 마련이다.
이와 같이 강해지고,뽐내고, 교만한 것을 도에 벗어나는 것이라 이르며,
도에 벗어난 것은 더 빨리 쇠퇴하기 마련이다.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 제32장 : 멈출 줄 알면 위태로움이 없다. (0) | 2010.03.10 |
---|---|
老子 제31장 : 전쟁에 이겨도 상례처럼 예를 지켜라. (0) | 2010.03.10 |
老子 제29장 : 성인은 지나침을 버린다. (0) | 2010.03.10 |
老子 제28장 : 통나무를 다듬어 그릇을 만든다. (0) | 2010.03.10 |
老子 제27장 : 잘 다니는 사람은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0) | 2010.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