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보감 (27) 썸네일형 리스트형 1. 繼 善 篇 ( 계 선 편 ) 子曰(자왈) 爲善者(위선자 )는 天報之以福(천보지이복 )하고 爲不善者(위불선자 )는 天報之以禍( 천보지이화)이니라.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착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복을 주시고 악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재앙을 주시느니라."고 하셨다. 漢昭烈(한소열)이 將終(장종)에 勅後主曰(칙.. 명심보감이란?? 명십보감은 고려 시대 충렬왕 때의 문신인 추적(秋適)이 어린이들을 위하여 각종 고전에서 가르칠 때 쓰이기 위해 문구들을 발췌하여 만든 책이다. 지어진 때는 고려 충렬왕 31년(1305년)으로 전해진다.원래 19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염의(廉義).. 명심보감 해설을 쓰며.. 저는 어린 시절 시골에서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 지금으로 말하면 유치원을 다닐 시기에 아버지로 부터 천자문을 익힌 후 명심보감을 배웠습니다. 그때는 무슨 의미인지도 모르고 그냥 가르쳐 준 데로 외우기만 하면 칭찬을 해 주었고, 그 재미로 거기까지만 배우고 초등학교를 들어가고 객지 생활을 ..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