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자왈)
無憂者(무우자)는 其惟文王乎!(기유문왕호)신저
以王季為父 (이왕계위부)하시고, 以武王為子(이무왕위자)하시니.
父作之(부작지)시어늘 子述之(자술지)하시니라.
공자께서 이르시기를
근심이 없는 사람은 그러한 사람은 오직 문왕이 아니겠는가.
왕계를 아버지로 삼고, 무왕으로서 자식을 삼았다.
아버지가 그것을 만드시고, 자식이 그것을 이어서 폈다.
武王(무왕)은 纘大王,王季、文王之緒(천태왕,왕계,문왕지서)하사。
壹戎衣而有天下(일융의이유천하)하시되 身不失天下之顯名(신불실천하지현명)하시며.
尊為天子(존위천자)시고, 富有四海之內(부유사해지내)하사,
宗廟饗之(종묘향지)하시며, 子孫保之(자손보지)하셨다.
무왕은 태왕(고공단보)과 왕계와 문왕의 유서(가업, 사업, 건국업)를 계승하여,
한번 군복을 입으시니 천하를 가졌다. 몸으로써도 이미 천하에 드러난 명을 잃지 않으시어,
존귀함으로써 천자가 되었고 부유함으로는 사해의 땅을 가지고
종묘에서는 선왕들을 흠향시키고, 자손을 보전시켰다.
武王 (무왕)이 末受命(말수명)이어시늘, 周公 (주공)이 成文武之德(성문무지덕)하사
追王大王,王季(추왕태왕,왕계)하시고, 上祀先公以天子之禮(상사선공이천자지례)하시니,
斯禮也 達乎諸侯大夫及士庶人(사례야달호제후대부급사서인)하니,
父為大夫(부위대부)요 子為士(자위사)어든, 葬以大夫(장이대부)하고,
祭以士(제이사)하며
父為士(부위사)요 子為大夫(자위대부)어든 葬以士(장이사)하고, 祭以大夫(제이대부)하며
期之喪 (기지상)은 達乎大夫(달호대부 )하고,三年之喪 (삼년지상)은 達乎天子(달호천자)하니
父母之喪 (부모지상)은 無貴賤一也(무귀천일야 )이니라.
무왕이 말년에 천명을 받았고, 주공(무왕의 동생, 성왕의 작은 아버지)이 문왕과 무왕의 덕을 이루어
태왕과 왕계를 왕으로 추존하였다. 선조들을 천자의 예로써 제사로 모시셨다.
이 예가 제후 대부 및 선비, 서인까지 미쳤다.
아버지가 대부가 되고 아들이 사라면 대부의 대우로 장례를 치르며,
사의 자격에 맞는 제례를 올린다.
아버지가 사이고 자식이 대부라면 장례는 사로써 하고 대부의 자격에 맞는 제례를 올린다.
기년(1년)상은 대부까지만 통용되고,삼년의 상은 천자에까지 통용되니,
부모의 상은 귀천에 관계없이 똑같이 치루었다.
'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0장 : 人道 敏政 地道 敏樹 (0) | 2010.10.23 |
---|---|
제19장: 夫孝者 善繼 人之志 (0) | 2010.10.20 |
제17장 : 德爲聖人 尊爲天子 (0) | 2010.10.17 |
제16장 : 視之而弗見 (0) | 2010.10.17 |
제15장 : 辟如行遠必自邇 (0) | 2010.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