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맹자

盡心章句上 第四十三章 : 滕更在門

 

 

公都子曰 (공도자왈)
[滕更之在門也, 若在所禮. (등경지재문야,야재소례)
 而不答, 何也? ] (이부답,하야?)
孟子曰 (맹자왈)
[挾貴而問, (협귀이문)
 挾賢而問, (협현이문)
 挾長而問, (협장이문)
 挾有勳勞而問, (협유훈노이문)
 挾故而問, (협고이문)
 皆所不答也. (개소부답야)
 滕更有二焉. ] (등경유이언)
공도자가 말했다.
 "등경이 선생님의 문하에 와 있을 때는 禮로써 대해 주실만 하온데,
  그가 물어도 대답도 해 주시지 않으시니 무엇 때문입니까?"
맹자가 말씀하셨다.
 "자기가 존귀하다고 믿으면서 묻는 것,
  자기가 현명하다고 믿으면서 묻는 것,
  자기가 어른이라고 믿으면서 묻는 것,
  자기가 공로가 있다고 믿으면서 묻는 것,
  자기가 친구의 연고가 있는 것을 믿으면서 묻는 것,
  이 5 가지 경우에는 대답하지 않는다.
  등경은 이들 중에서 2 가지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