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맹자

萬章章句下 第七章 : 往見不義也

 

 

萬章曰 (만장왈)
[敢問不見諸侯, 何義也? ] (감문불견제후,하의야?)
孟子曰 (맹자왈)
[在國曰市井之臣, 在野曰草莽之臣, (재국왈시정지신,재야왈초망지신)
 皆謂庶人。 (개위서인)
 庶人不傳質爲臣, 不敢見於諸侯, 禮也。 ] (서인부전질위신,불감견어제후,예야)
만장이 말했다。
"제후를 만나 보지 않으심은 무슨 뜻인지 감히 여쭙습니다, "
孟子께서 말씀하셨다。
"도읍(國)에 있으면 시정의 신하라하고, 시골(野)에 있으면 초망의 신하라고 하는데,
 모두 서인이라고 부른다。
 서인이 예물(質)을 전하여 臣下가 되지 않고서는 감히 제후를 뵙지 못함이 禮義이다。"
 
萬章曰 (만장왈)
[庶人, 召之役, 則往役。 (서인,소지역,즉앙역)
 君欲見之, 召之, 則不往見之, 何也? ] (군욕견지,소지,즉불왕견지,하야?)
曰 [往役, 義也。 往見, 不義也。 (왈 왕역,의야,왕견,불의야)
만장이 말했다。
"서인이 부역(役)에 부르면 가서 부역(役)하는데,
 임금이 보고자 하여 불렀는데 가보지 않음은 어째서 입니까?"
"가서 부역(役)함은 義이지만, 가서 만나봄은 不義이다。
 

且君之欲見之也, 何爲也哉? ] (차군지욕견지야,하위야재?)
曰 [爲其多聞也, 爲其賢也。 ] (왈 위기다문야,위기현야)
曰 [爲其多聞也, 則天子不召師,  而況諸侯乎? (왈 위기다문야,즉천자불소사,이황제후호?)
     爲其賢也, 則吾未聞欲見賢而召之也。 (위기현야,즉오미문욕견현이소지야)
繆公亟見於子思, 曰 (목공극견어자사,왈)
  {古千乘之國以友士, 何如? } (고천승지국이우사,하여?)
子思不悅, 曰 (자사불열,왈)
  {古之人有言 曰事之云乎, 豈曰友之云乎? } (고지인유언 왈사지운호,개왈우지운호?)
子思之不悅也, 豈不曰 (자사지불열야,개불왈)
  {以位, 則子, 君也。 我, 臣也。 何敢與君友也? (이위,즉자,군야.아,신야.하감여군우야?)
    以德, 則子事我者也。 奚可以與我友? } (이덕,즉자사아자야.해가이여아우?)
千乘之君求與之友, 而不可得也, 而況可召與(천승지군구여지우,이불가득야,이황가소여)
또 임금이 만나보고자 함은 무엇을 위하여 인가?"
"그 앎이 많고 현량하기 때문입니다。"
"그 앎이 많기 때문이라면 天子도 스승을 못 부르거늘,하물며 제후가?
 그 현량하기 때문이라면, 현량을 만나 보고자 하여 불렀다는 이를 나는 아직 듣지 못했다。
노나라의 목공이 자주 子思를 만나보고
'옛날에 천승 나라의 임금이 士를 친구로 사귀었다고 하는데, 어떻습니까?'하고 물었더니,
子思는 기뻐하지 않으며
'옛날 사람의 말에 섬긴다는 말이 있지 않습니까? 어찌하여 친구로 사귀었다고 하십니까?'라고
 말했다。
子思가 기뻐하지 않으심은
'地位로는 그대가 임금이고 나는 신하인데, 어찌 감히 임금과 더불어 벗하며
 德으로는 그대가 나를 섬기는 사람인데 어찌 감히 나로 더불어 벗하겠는가' 함이 아닐까.
 千乘 나라의 임금이 더불어 벗하기를 구했는데도 얻을 수 없었는데 하물며 부를 수 있었겠는가?
 

齊景公田, (재경공전)
招虞人以旌, 不至, 將殺之。 (초우인이정,부지,장살지.)
志士不忘在溝壑, (지사불망재구학)
勇士不忘喪其元。 (용사불망상기원)
孔子奚取焉? 取非其招不往也。 ] (공자해취언? 취비기초불왕야)
曰 [敢問招虞人何以? ] (왈 감문초우인하이?)
曰 [以皮冠。 庶人以旃, (왈 이피관.서인이전)
     士以旂, 大夫以旌。 (사이기,대부이정)
齊나라 경공이 사냥하러 갔을 때,
우인을 털 달린 깃발(旌정)로 신호를 하여 불렀는데, 오지 않으므로 그를 죽이려고 했다。
'志士는 죽어서 구렁에 떨어져 구르고 있음을 잊지 않고,
 勇士는 자기 머리를 잃음을 잊지 않는다。 '고 하였는데 (제 목숨을 바치기를 항상 각오하고 있다)
孔子께서는 무엇을 취하신 것이겠는가? 그 올바른 부름이 아니면 가지 않음을 취하셨다。"
"우인을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 감히 여쭙습니다。"
"가죽 모자(皮冠)로 신호한다。 서인에게는 붉은 깃발(旃)로 신호하고,
 士에게는 龍이 그려진 깃발(旂)로 신호하고, 大夫에게는 털 달린 깃발(旌)로써 신호한다。
 
以大夫之招招虞人, 虞人死不敢往。 (이대부지초초우인,우인사불감왕)
以士之招招庶人, 庶人豈敢往哉。 (이사지초초서인,서인개감왕재)
況乎以不賢人之招招賢人乎? (황호이불현인지초초현인호?)
大夫를 부르는 신호로 우인을 불렀으니, 우인이 죽여도 감히 가지 못한 것이다。
士를 부르는 신호로 서인을 부르면 서인이 어찌 감히 가겠느냐?
하물며 賢良하지 못한 사람을 부르는 방법으로 賢人을 부름에서랴。
 

欲見賢人而不以其道, 猶欲其入而閉之門也。 (욕견현인이불이기도,유욕기입이폐지문야)
夫義, 路也  禮, 門也。 (부의,로야 례,문야)
惟君子能由是路, 出入是門也。 (유군자능유시로,출입시문야)
詩云 (시운)
{周道如底, 其直如矢。 (주도여저,기직여시)
 君子所履, 小人所視。 } ] (군자소이,소인소시)
賢人을 만나보고자 하면서 그 道로서 하지 않으면 그 집에 들어오라고 하면서 門을 닫음과 같다。
義는 길이요, 禮는 門이다。
오직 君子라야 그 길을 따르며 그 門으로 드나든다。
『詩經』에
'周나라의 길은 숫돌같고 그 곧음이 화살 같도다。
 君子가 밟고 가는 길이고, 小人이 보고 배울 길이다'라고 하였다。
 
萬章曰 (만장왈)
[孔子, 君命召, 不俟駕而行。 (공자,군소명,불사가이행)
 然則孔子非與? ] (연즉공자비여?)
曰 [孔子當仕有官職, 而以其官召之也。 ] (왈 공자당상관직,이이기관소자야)
만장이 말했다。
 "孔子께서는 임금이 命하여 부르면 수레에 멍에 하기를 기다리지 못하여 가셨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孔子께서 잘못하셨습니까?"
 "孔子께서는 벼슬을 해서 관직에 계셨기에, 그 관직으로 부르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