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맹자

滕文公章句下 第三章 : 孔子三月無君 (

 

 

 

周霄問曰 (주소문왈)
[古之君子仕乎? ] (고지군자사호)
孟子曰 (맹자왈)
[仕. 傳曰 '孔子三月無君, 則皇皇如也, (사,전왈 공자삼월무군,즉황황여야)
  出疆必載質. (축강필재질)
' 公明儀曰 '古之人三月無君則弔. ' ] (공명의왈 고지인삼월무군즉조)
주소가 물었다.
"예전의 君子는 벼슬을 했습니까?"
孟子께서 말씀하셨다.
"벼슬을 하였다. 전에 이르기를 '孔子께서는 석 달동안 섬길 임금이 없으면 애태우시고
 국경을 나가실 때는 반드시 폐백을 실으셨다.' 하고,
 공명의는 '옛 사람들은 석 달동안 섬길 임금이 없는 사람을 위문해 주었다'고 하였다."
 
[三月無君則弔, 不以急乎? ] (삼월무군즉조,불이급호)
"석달동안 섬길 임금이 없다고 해서 위문해 주는 것은 너무 조급하지 않습니까?"
 
曰 [士之失位也, 猶諸侯之失國家也. (왈 사지실위야,유제후지실국가야)
禮曰 (예왈)
'諸侯耕助, 以供粢盛. (제후경조,이공자성)
 夫人蠶繅, 以爲衣服. (부인잠소,이위의복)
 犧牲不成, 粢盛不潔, (희생불성,자성불결)
 衣服不備, 不敢以祭. (의복불비,불감이제)
 惟士無田, 則亦不祭. (유사무전,즉역부제)
' 牲殺器皿衣服不備, 不敢以祭, (생살기명의복불비,불감이제)
  則不敢以宴, 亦不足弔乎? ] (즉불감이연,역부족ㅈ호)
"士가 벼슬 자리를 잃음은 제후가 국가를 잃음과 같다.,
<예기>에 이르기를
'제후가 밭갈아 제사 지낼 곡식을 고여 놓고,
 부인은 누에 치고 실을 자아 의복을 만드는데,
 제물로 바칠 동물(犧牲)이 잘 자라지 못하고, 고여 놓을 곡식(粢盛)이 깨끗하지 못하며,
 의복이 마련되지 않으면 감히 제사를 지내지 못하고,
 士가 제전이 없으면 역시 제사를 지내지 못한다' 고 하였다.
 제육과 제기, 제복을 갖추지 못하여 감히 제사를 지내지 못하면
 제사뒤의 잔치도 베풀지 못할 것이니, 또한 위문할 만하지 않겠느냐?"
 
出疆必載質, 何也?] (출강필재질,하야?)
"국경에 나아감에 반드시 폐백을 싣는 것은 무엇입니까?"
 
曰 [士之仕也, 猶農夫之耕也, (알 사지사야,유농부지경야)
農夫豈爲出疆舍其耒耜哉? ] (농부개위출강사기리사재)
曰 [晉國亦仕國也, (왈 진국역사국야)
    未嘗聞仕如此其急. (미상문사여차기급)
    仕如此其急也, 君子之難仕, 何也? ] (사여차기급야,군자지난사,하야)
曰 [丈夫生而願爲之有室, (왈 장부생이원이지유실)
     女子生而願爲之有家. 父母之心, 人皆有之. (여자생이원위지유가,부모지심,인개유지)
     不待父母之命·媒妁之言, (부득부모지명,매작지언)
     鑽穴隙相窺, 踰牆相從, (찬혈극상규,유장상종)
     則父母國人皆賤之. (즉부모국인개천지)
     古之人未嘗不欲仕也, (고지인미상불욕사야)
     又惡不由其道. (우오불유기도)
     不由其道而往者, 與鑽穴隙之類也.] (불유긷이왕자,여찬혈극질야)
"士가 벼슬을 하는 것은 농부가 밭을 가는 것과 같으니,
 농부가 어찌 국경을 나아가는 데에 그 쟁기와 보습을 버리고 갈 수 있겠느냐?"
"진나라가 또한 벼슬살이 할 만한 나라입니다만,
 일찌기 벼슬을 하는 것이 이렇듯 급함을 듣지 못했습니다.
 벼슬을 하는 것이 이렇듯 급하다면' 君子가 벼슬하는 것을 어렵게 여기는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장부가 태어나면 그 아내(室) 있기를 바라고,
 여자가 태어나면 그 남편(媤家) 있기를 바람은 父母의 마음이라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다.
 그러나 父母의 命과 중매쟁이의 말을 기다리지 않고
 구멍과 틈을 뚫어서 서로 엿보며 담을 넘어서 서로 상종하는 것은
 곧 父母와 동리 사람이 다 천하게 여길 것이다.
 옛 사람들은 일찌기 벼슬하고자 하지 않는 사람은 없지만,
 또한 바른 道에 따르지 않고 벼슬하는 것을 싫어 하였다.
 바른 道에 따르지 않고 찾아가는 사람은 구멍을 뚫고 서로 만나는 사람과 같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