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맹자

梁惠王章句下 第七章. : 所謂故國

 

 

孟子見齊宣王曰 (맹자견 제선왕왈),
所謂故國者, 非謂有喬木之謂也, 有世臣之謂也 (소위고국자,비유교목지위야,유세신지위야).
王無親臣矣, 昔者所進, 今日不知其亡也 (왕무친신의,석자소진,금일부지기망야).
 孟子께서 제나라 선왕을 뵙고 말씀하셨다.
"고국이라 함은 교목이 있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세신이 있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王은 친근한 신하조차 없습니다. 어제 등용된 신하가 오늘 도망하는 것도 알지 못하십니다.
 
王曰 (왕왈),
吾何以識其不才而舍之 (오하이식기부재이사지).
 왕께서 말씀하셨다.
"내 어떻게 하면 그런 재질없는 자를 알아내어서 제거하겠습니까?"
 
曰, 國君進賢, 如不得已 (왈,국군진형,여부득이),
將使卑踰尊 (장사비유존),
疏踰戚, 可不愼與 (소유척,가불신여).
"나라의 왕이 어진 사람을 등용하기를, 마지못해 하는 것같이 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는 낮은 지위에 있는 자라도 나중에는 지금의 높은 자를 뛰어넘을 것이며,
 친하지도 않은 사람을 친척들의 윗자리로 보내야 하니 마땅히 신중히 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左右皆曰賢, 未可也 (좌우개왈 현,미가야).
諸大夫皆曰賢, 未可也 (제대부개왈 현,미가야).
國人皆曰賢, 然後察之. 見賢焉, 然後用之 (국인개왈 현,영후찰지,견현언,영후용지).
左右皆曰不可, 勿聽 (좌우개왈 불가,물청).
諸大夫皆曰不可, 勿聽 (제대부개왈 불가,물청).
國人皆曰不可, 然後察之 (국인개왈 불가,연후찰지).
見不可焉, 然後去之 (견불가언,연후거지).
 左右의 최측근 사람들이 모두 다 어질다(賢) 해도 허락하지 아니하며,
 모든 大夫가 다 어질다(賢) 해도 허락하지 아니하고,
 나라 사람이 다 어질다(賢)고 한 연후에 살펴보아서 어짊(賢)을 보고 난 뒤에 등용합니다.
 左右의 최측근 사람들이 모두 다 그대로 두어서는 않된다 해도 듣지 말며,
 모든 大夫들이 다 그대로 두어서는 않된다 해도 듣지 말며,
 나라 사람이 모두 다 그대로 두어서는 않된다고 한 연후에 살펴보아서
 그대로 두어서는 않됨을 보고난 뒤에 버립니다.
 

左右皆曰可殺, 勿聽 (좌우개왈 가살,물청).
諸大夫皆曰可殺, 勿聽 (제대부개왈 가살,물청).
國人皆曰可殺, 然後察之 (국인개왈 가살,연후찰지).
見可殺焉, 然後殺之. 故曰, 國人殺之也 (견가살언,연후살지,고왈,국인살지야).
 左右의 최측근 사람들이 모두 죽여야 한다고 해도 듣지 말며,
 모든 大夫들이 다 죽여야 한다고 해도 듣지 말고,
 나라 사람들이 모두 다 죽여야 한다고 한 연후에 살펴보아서,
 죽여 마땅함을 보고난 뒤에 죽여야 할 것이니, 그렇게 하면 말하기를
 나라 사람이 죽였다고 할 것입니다.
 
如此, 然後可以爲民父母 (여차,연후가이위민부모).
 이렇게 한 다음이라야 비로소 백성의 부모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