齊宣王問曰 (제선왕문왈),
人皆謂 我毁明堂 (인개위 아훼명당).
毁諸. 已乎 (훼제,이호).
제나라 선왕이 물었다.
"사람들이 모두 나에게 「明堂」을 헐어 버리라고 말합니다.
그것을 헐어야 할까요? 이대로 둘까요?“
孟子對曰 ( 맹자대왈),
夫明堂者, 王者之堂也 (부명당자,왕자지당야).
王欲行王政, 則勿毁之矣 (왕욕행왕정,즉물훼지의).
孟子께서 대답하여 말씀하셨다.
"明堂은 王者의 당입니다.
王께서 왕도정치를 행하고자 하신다면 그것을 헐지 마십시오."
王曰, 王政可得聞與 (왕왈,왕정가득문여).
對曰 (대왈),
昔者文王之治岐也, 耕者九一 (석자문왕지치기야,경자구일),
仕者世祿 (사자세녹),
關市譏而不征 (관시기이부정),
澤梁無禁, 罪人不孥 (택량무금,죄인부노).
老而無妻曰鰥. 老而無夫曰寡 (노이무처왈 환,노이무부왈 과).
老而無子曰獨. 幼而無父曰孤 (노이무자왈 독,유이무부왈 고).
此四者, 天下之窮民而無告者 (차사자,천하지궁민이무고자).
文王發政施仁, 必先斯四者 (문왕발정시인,필선사사자).
詩云, 哿矣富人, 哀此煢獨 (시운,가이부인,애차경독). * 哿 ; 좋을 가, 煢 : 외로울 경
王이 말씀하셨다. “왕도정치에 대하여 들려주시겠습니까?"
대답하여 말씀하셨다.
“옛날에 文王이 기(岐)땅을 다스릴 때에는 경작자에게는 1/9을 세로 하였고,
벼슬살이 한 사람에게는 그 녹을 대대로 주었고,
관문과 시장에서는 사정을 살피기는 하였으나 세를 징수하지는 않았고,
물고기를 잡아먹는 것을 금하지 않았고, 죄인의 처자에게 까지 벌이 미치지 않게 하였습니다.
‘늙고 아내가 없으면’「홀아비:鰥」라하고,‘늙고 남편이 없으면’ 「과부 :寡」라고 하고,
‘늙고 자식이 없으면’「외로운 사람:獨」이라 하고, ‘어리고 아비가 없으면’
「고아:孤」라고 합니다.
이 네 가지의 사람들은 天下의 궁박한 백성들로서 호소할 곳이 없는 사람들입니다.
文王은 정치를 펴고 仁을 베풂에 반드시 이 네 부류의 사람들을 먼저 돌보았던 것입니다.
『시경』에 이르기를 '좋기도 하다, 저 부유한 사람들 ! 가엾구나, 이 외로운 사람들!'이라고
하였습니다."
王曰, 善哉言乎 (왕왈,선재언호).
曰, 王如善之, 則何爲不行 (왈,왕여선지,즉하위불행).
王曰, 寡人有疾, 寡人好貨 (왕왈,과인유질,과인호화).
王께서 말씀하셨다. "좋은 말씀입니다."
"王께서 좋게 여기신다면 어찌 실행하지 않으십니까?"
王께서 말씀하셨다. "과인은 한 가지 병이 있습니다. 과인이 재물을 좋아합니다."
對曰 (대왈),
昔者公劉好貨 詩云 (석자공유호화, 시운),
乃積乃倉, 乃裹餱糧 (내적내창,내과후양), * 裹 : 쌀 과 (꾸러미),餱 : 건량 후(마른 밥)
于橐于囊. 思戢用光 (우탁우낭,사집용광). * 橐 : 자루 탁 (전대),囊 : 주머니 낭(자루)`* 戢 ; 병기모을 집
弓矢斯張, 干戈戚揚 (궁시사장,간과척양),
爰方啓行 (원방계행).
故居者有積倉 (고거자유적창),
行者有裹糧也, 然後可以爰方啓行 (행자유과양야,연후가이 원방계행).
王如好貨, 與百姓同之 (왕여호화,여백성동지),
於王何有 (어왕하유).
대답하여 말씀하셨다.
"옛날에 공류도 재물을 좋아하였습니다. 『시경』에,
'농사지어 노적하고 창고에 쌓아, 이에 양식을 말리고 저장하였다.
말린 양식을 전대와 자루에 담고, 병기를 모아 나라를 빛내려고 생각하여서,
활과 살을 펴 들고, 방패와 창과 도끼를 메고,
이에 처음으로 길 떠나셨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집에 남아 있는 사람들에게 노적과 창고에 쌓인 양식이 있고,
길 떠나는 사람이 양식을 싼 자루를 가진 연후에 비로소 떠나갈 수 있었습니다.
王께서 만약에 재물을 좋아하시되 그것을 백성들과 더불어 함께 하신다면
왕 노릇 하는데 있어 무슨 어려움이 있겠습니까?"
王曰, 寡人有疾, 寡人好色 (왕왈,과인유질,과인호색).
對曰 (대왈),
昔者大王好色, 愛厥妃. 詩云 (석자 대왕호색,애궐비,시운),
古公亶甫, 來朝走馬 (고공단보,래조주마),
率西水滸, 至于岐下 (률서수호,지우기하).
爰及姜女, 聿來胥宇 (원급강녀,율래서우).
當是時也, 內無怨女, 外無曠夫 (당시시야,내무원녀,외무광부). * 曠夫 ; 홀아비
王如好色, 與百姓同之 (왕여호색,여백성동지).
於王何有 (어왕하유).
王께서 말씀하셨다. "과인은 병이 있습니다. 과인은 女色을 좋아합니다."
대답하여 말씀하셨다.
"옛날에 태왕은 色을 좋아하셔서 그의 왕비를 사랑하였습니다. 『시경』에
고공단보가 쫓길 때에 / 아침 일찍 말을 몰아 달리시어
서쪽 물가를 따라 / 기산 밑에 이르렀다.
여기서 강녀와 함께 / 사이 좋게 지내셨네.'라고 하였습니다.
그때에는 안으로는 원망하는 여인이 없었고 밖으로는 홀아비가 없었습니다.
王께서 女色을 좋아하시되 백성들과 더불어 함께 하신다면
王 노릇하는데 무슨 어려움이 있겠습니까?"
'맹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梁惠王章句下 第七章. : 所謂故國 (0) | 2010.04.25 |
---|---|
梁惠王章句下 第六章. : 王顧左右 (0) | 2010.04.25 |
梁惠王章句下 第四章. : 樂以天下 (0) | 2010.04.25 |
梁惠王章句下 第三章. : 寡人好勇 (0) | 2010.04.22 |
梁惠王章句下 第二章. : 文王之囿 (0) | 2010.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