載營魄抱一 能無離乎 (재영백포일 능무이호)
專氣致柔 能嬰兒乎 (전기치유 능영아호)
滌除玄覽 能無疵乎 (척제현람 능무자호)
愛民治國 能無知乎 (애민치국 능무지호)
天門開闔 能無雌乎 (천문개합 능무자호)
明白四達 能無爲乎 (명백사달 능무위호)
生之畜之 生而不有 (생지축지 생이불유)
爲而不恃 長而不宰 (위이부시 장이부재)
是謂玄德 (시위현덕)
전체 세상과 일체가 되어 거기서 떠나지 않게 할 수 있겠는가?
숨결을 모아 부드럽게 하기를 어린아이처럼 천진난만하게 될 수 있겠는가?
숨결을 모아 부드럽게 하기를 어린아이처럼 천진난만하게 될 수 있겠는가?
나쁜 습성을 제거하고 깊은 내면을 살펴서도 아무런 허물도 없도록 할 수 있겠는가?
뭇 사람들을 사랑하고 나라를 다스림에 있어 자기 주장을 내 세우지 않을 수 있겠는가?
천문이 열려 신통력을 얻어도 여자차럼 약해지지 않을 수 수 있겠는가?
뚜렷하고도 밝은 앎을 터득하여 사방으로 알려져도 무위로 지낼 수 있겠는가?
낳고 기르고 , 살되 가지지 아니 하며
만물을 보살피되 그 결과에 기대지 아니하며, 우두머리이나 지배하지 아니한다
이를 일컬어 현덕(도인들의 보편적인 의식)이라 한다.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 제12 장 : 버릴 것과 가질 것을 가려라. (0) | 2010.03.08 |
---|---|
老子 제11장 : 비어 있음으로 쓰임이 있다. (0) | 2010.03.08 |
老子 제9장 : 물러날 때를 알아야 한다 (0) | 2010.03.08 |
老子 제8장 ; 최상의 선(善)은 물이다. (0) | 2010.03.07 |
老子 제7장 : 자신을 버려야 자신이 산다. (0) | 2010.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