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

시경이란

백운산촌노 2011. 1. 30. 20:16

 

 

 

 

시경이란?
황허강[黃河] 중류 주위안[中原] 지방의 시로서,
시대적으로는 주초(周初)부터 춘추(春秋) 초기까지의 것 305편을 수록하고 있다.
본디 3,000여 편이었던 것을 공자가 311편으로 간추려 정리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오늘날 전하는 것은 305편이다.
시경은 풍(風),아(雅),송(頌) 셋으로 크게 분류되고 다시 아(雅)가 대아(大雅), 소아(小雅)로 나뉘어 전해진다.

풍(國風이라고도 함) 은 여러 나라의 민요로 주로 남녀간의 정과 이별을 다룬 내용이 많다.

아(雅)는 공식 연회에서 쓰는 의식가(儀式歌)이며, 송은 종묘의 제사에서 쓰는 악시(樂詩)이다.
각부를 통하여 상고인(上古人)의 유유한 생활을 구가하는 시,
현실의 정치를 풍자하고 학정을 원망하는 시들이 많은데, 내용이 풍부하고,

문학사적 평가도 높으며, 상고의 사료(史料)로서도 귀중하다.

원래는 사가소전(四家所傳)의 것이 있었으나 정현(鄭玄)이 주해를 붙인 후부터 ‘모전(毛傳)’만이 남았으며, 그때부터 《모시(毛詩)》라고도 불렀다.
당대(唐代)에는 《오경정의(五經正義)》의 하나가 되어 경전화하였다.
                                                             [출처] 시경 [詩經 ] | 네이버 백과사전

 

 

** 공자는 시경의 이점을 다음과 같이 말했다.
-- 可以興    : 인간의 감정을 불러 일으킨다.
-- 可以觀    : 사물을 보는 관점을 키워준다
-- 可以群    : 사람의 관계를 소통시킨다.
-- 可以怨    : 맻힌 원한을 풀어준다.
-- 邇之事父 : 가까이는 부모를 섬긴다
-- 遠之事君 : 멀리는 임금을 섬긴다
-- 多識於鳥獸草木之名 : 만물을 이해하게 한다.
** 시경은 인간의 이야기이므로 시경을 통해 인간의 삶을 이해하고 삶을 돌아볼 수 있는
     통찰력과 통섭력을 카워야 한다

국풍(國風) : 총 160편 
   01 周南 주남 001-011
   02 召南 소남 012-025
   03 邶風 패풍 026-044
   04 鄘風 용풍 045-054
   05 衛風 위풍 055-064
   06 王風 왕풍 065-074
   07 鄭風 정풍 075-095
   08 齊風 제풍 096-106
   09 魏風 위풍 107-113
   10 唐風 당풍 114-125
   11 秦風 진풍 126-135
   12 陳風 진풍 136-145
   13 檜風 회풍 146-149
   14 曹風 조풍 150-153
   15 豳風 빈풍 154-160

 

소아(小雅) : 총 74편 
   01 鹿鳴 之什 녹명지습 161-170
   02 白華 之什 백화지습 170-175
   03 彤弓 之什 동궁지습 175-185
   04 祈父 之什 기부지습 185-195
   05 小旻 之什 소민지습 195-205
   06 北山 之什 북산지습 205-215
   07 桑扈 之什 상호지습 215-225
   08 都人士 之什 도인사지습 225-234 

 

 

대아(大雅) :  총 31편
   01 文王之什 문왕지습 235-244
   02 生民之什 생민지습 245-254
   03 蕩之什    탕지습    255-265

 

송(頌)  : 총 40편  

   01 周頌 주송 266-296
    01a -清廟之什 청묘지습 266-275
    01b -臣工之什 신공지습 276-285
    01c -閔予小子之什 민여소자지습 286-296
  02 魯頌 노송 297-300
  03 商頌 상송 301-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