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장 : 齊家治國
所謂治國(소위치국)이 必先齊其家者(필선제기가자)는
其家(기가)를 不可敎(불가교)요 而能敎人者 無之(이능교인자 무지)하니
故(고)로 君子(군자)는 不出家而成敎於國(불출가이성교어국)하나니
孝者(효자)는 所以事君也(소이사군야)요, 弟者(제자)는 所以事長也(소이사장야)요,
慈者(자자)는 所以事衆也(소이사중야)니라.
이른바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반드시 먼저 집안을 가지런하게 하는 데 있다는 것은
자기 집안 사람들을 교화할 수 없으면서 남을 교화할 수 있는 사람이 없으니
그러므로 군자는 집안을 나서지 않아도 교화를 나라에 이루나니
효도는 임금을 섬기는 바탕이 되며, 공손함은 어른을 섬기는 바탕이 되고,
자애는 대중을 위하는 바탕이 된다.
<康誥>(강고)에 曰(왈)
"如保赤子(여보적자)라"하니
心誠求之(심성구지)면
雖不中(수불중)이나 不遠矣(불원의)니
未有學養子而后(미유학양자이후)에 嫁者也(가자야))니라.
<강고>에 이르기를
"갓난아이를 보살피듯 하라" 하니
정성어린 마음으로 나라를 다스리고자 하면
비록 완전하지는 않다 하더라도 도에서 멀지 않을 것이니
자식 기르기를 배운 뒤에 시집가는 사람이 없는 것과 같다.
一家 仁(일가 인)이면 一國(일국)이 興仁(흥인)하고
一家 讓(일가 양)이면 一國(일국)이 興讓(흥양)하고
一人(일인)이 貪(탐)하면 一國(일국)이 作亂(작난)하나니
其機如此(기기여차)하니 此謂一言(차위일언)이 僨事(분사)며
一人(일인)이 定國(정국)이니라.
한 집안이 인하면 나라 전체에 인이 일어나게 되고
한 집안이 양보하면 나라 전체에 양보가 일어나게 되고
한 사람이 탐욕하면 나라 전체가 어지러워 질 것이니
그 조짐이 이와 같으니, 이것은 한 마디의 말이 일을 그르치며
한 사람이 나라를 안정시킨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堯舜(요순)이 帥天下以仁(수천하이인)하신대 而民(이민)이 從之(종지)하고
桀紂(걸주)가 帥天下以暴(수천하이포)한대 而民(이민)이 從之(종지)하니
其所令(기소령)이 反其所好(반기소호)면 而民(이민)이 不從(부종)하나니
是故(시고)로 君子(군자)는 有諸己而後(유제기이후)에 求諸人(구제인)하며
無諸己而後(무제기이후)에 非諸人(비제인)하나니
所長乎身(소장호신)이 不恕(불서)요 而能喩諸人者 未之有也(이능유제인자 미지유야)니라.
故(고)로 治國(치국)이 在齊其家(재가기가)니라.
요순(고대의 성왕)이 천하를 인으로 다스리니 백성들이 따르고
걸주(고대의 폭군)가 포악함으로 천하를 다스리니 백성들이 따르니
명령하는 바가 좋아하는 바에 반하면 백성이 따르지 않는다.
이런 까닭으로 군자는 자기에게 갖추고 난 뒤에 남에게 갖추도록 하며
자기에게 갖추어 있지 않다면 남에게 갖추도록 하지 않는다.
자기의 좋은 점을 밝게 알지 못하고서 자기 장점을 남에게 깨우쳐 줄 수 있는 사람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자기 집안을 가지런히 하는데 있다.
詩云 (시운)에
"桃之夭夭(도지요요)여 其葉蓁蓁(기업진진) 이로다.
之子于歸(지자우귀)여 宜其家人(의기가인)이라"하니
宜其家人而后(의기가인이후)에 可以敎國人(가이교국인)이니라.
<시경>에 이르기를,
"아름답고 고운 복숭아 나무여, 잎이 무성하구나.
화창한 봄날에 시집가는 딸이여, 그 집안을 화목하게 하겠네"라고 하니
집안을 화목하게 한 뒤에 나라 사람들을 교화할 수 있을 것이다.
詩云 (시운)에
"宜兄宜弟(의형의제)라"하니,
宜兄宜弟而后(의형의제이후)에 可以敎國人(가이교국인)이니라.
<시경>에 이르기를
"형과 화목하고 아우와 화목한다" 하니,
형과 화목하며 아우와 화목한 후에 나라 사람들을 교화할 수 있을 것이다.
詩云(시운)
“其儀不忒(기의불특)이라 正是四國(정시사국)이라”하니
其爲父子兄弟 足法而后(기위부자형제 족법이후)에 民(민)이 法之也(법지야)니라.
此謂 治國(차위치국)이 在齊其家(제가기가)니라.
<시경>에 이르기를
“거동이 어긋나지 않으니 나라 사방을 바르게 하리라" 하니,
부자형제 되는 사람들이 본받을 만한 뒤에 백성들이 본받게 된다.
이것은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집안을 가지런히 하는 데 있음을 말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