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老子 제27장 : 잘 다니는 사람은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백운산촌노 2010. 3. 9. 15:33

 

 

     善行 無轍迹(선행 무철적) 善言 無瑕謫(선언 무하적)
   善數 不用籌策(선수 불용주책)
    善閉 無關楗而不可開(선폐 무관건이불가계)
   善結 無繩約而不可解(선결 무승약이불가해)
   是以聖人常善求人 (시이성인상선구인)故無棄人(고무기인)
   常善救物(상선구물) 故無棄物(고무기물)
   是謂襲明(시위습명)
   故善人者(고선인자) 不善人之師(불선인지사)
   不善人者(불선인자) 善人之資(선인지자)
   不貴其師(불귀기사) 不愛其資(불애기자)
   雖智大迷(수지대미) 是謂要妙 (시위요묘)
 
       잘 다니는 사람은 흔적이 없고, 말을 잘하는 사람은 말에 흠이 없으며,
       셈을 잘하는 사람은 계산기를 쓰지 않는다.
       문을  잘 닫는 사람은 빗장을 걸지 않아도 열지 못하게 하며,
       묶음을 잘 묶는 사람은  매듭을 짓지 않아도 풀지 못하게 한다.
       그러므로 성인은    사람을 잘 모으되 어떤 사람도 버리지 아니하며,
       늘 물건을 구하여 잘 쓰므로 어떤 물건도 버리지 아니 한다.
       이를 일컬어 밝은 지혜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무엇이든 잘하는 사람은 잘 못하는 사람의 스승이 되고 ,
       잘 못하는 사람은  잘하는 사람의  가르침(바탕)이 된다.
       스승을 귀히 여기지 아니하고 자기의 바탕을 사랑하지 않으면
       비록 슬기로운 사람이라도 끝내 미혹해지게 된다.
      이 것을 일러 오묘한 진리라고 한다.